
안녕하세요.
이제 9번째 영어공부 내용을 포스팅하게 되었네요.
오늘은 잘 사용하는 be going to에 대해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고자 합니다.
특히 영어초보 분들이 will과 be going to의 뉘앙스 차이를 알면
더 좋을 것 같아요~~
성인영어학습지인 777영어학습지 초급편에서도 다루고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^^
(더 많은 정보는 요기 아래 링크로!! '777영어학습지' 네이버 블로그입니다!
777영어학습지 네이버 블로그 )
한번 알아볼게요.
"What are you going to do tomorrow?"
내일 뭐할 예정이니?
이렇게 be going to는 ~할 예정이다. 라고
해석하시면 되세요.
또한 be는 현재시제인 경우 주어의 형태에 따라
am이 될 수도 있고, is나 are가 될 수도 있습니다.
'Be going to' 의 쓰임
[be going to]는 가까운 미래를 나타내며
[be동사]는 주어에 맞춰서 예를 들면
[I am going to]또는 [He is going to]가 됩니다.
will과의 차이점은 will은 즉흥적인 주어의 의지라고 한다면
be going to는 이전부터 계획한 미래라는 약간의 뉘앙스
차이가 있습니다.
예를 들어서
[be going to] ⇔ [will]
① I will play tennis tomorrow. 갑자기 결정한 즉흥적인 미래, 의지
= I am going to play tennis tomorrow. 뭔가 전부터 테니스를 치려고 했던 계획 된 미래
(나는 내일 테니스를 칠 것이다.)
해석은 유사하게 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뉘앙스 차이를 기억하세요.
② He won’t play tennis tomorrow. 즉흥적인 결정의 뉘앙스
= He isn’t going to play tennis tomorrow. 미리 계획한 미래의 뉘앙스
(그는 내일 테니스를 치지 않을 것이다.)
③ Will you play tennis tomorrow? 즉흥적인 미래의 뉘앙스
= Are you going to play tennis tomorrow? 이전부터 계획한 미래의 뉘앙스
(당신은 내일 테니스를 칠 것입니까?)
be going to나 will이나
미래 시제이므로
이렇게 미래시제에 자주 사용되는 어구가 있습니다.
좀 더 알아볼게요.
미래형 문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구
① tomorrow
예) tomorrow morning (내일 아침) 등
② next~
예) next week (다음 주)
next month (다음 달)
next year (내년) 등
③ this~
예) this year (올 해)
this afternoon (오늘 오후) 등
④ 기타
예) some day (언젠가) 등
어떠셨나요? be going to에 대해 잘 공부하셨는지요.
will은 주어의 즉흥적인 의지, 미래를 나타내므로
예를 들어 전화가 갑자기 와서 내가 바로 받을게 라고 한다면
I will get the phone. 이렇게 사용하고요.
미리 전화가 올줄 알고 있는 경우
미리 전화를 받을 계획을 한 경우
I am going to get the phone.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.
회화에서는
will은 'll로 축약을 많이 하며
am going to 도 회화에서는
I'm going to 식으로 많이 사용하니 참고해 주세요.
안녕하세요.
이제 9번째 영어공부 내용을 포스팅하게 되었네요.
오늘은 잘 사용하는 be going to에 대해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고자 합니다.
특히 영어초보 분들이 will과 be going to의 뉘앙스 차이를 알면
더 좋을 것 같아요~~
성인영어학습지인 777영어학습지 초급편에서도 다루고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^^
(더 많은 정보는 요기 아래 링크로!! '777영어학습지' 네이버 블로그입니다!
777영어학습지 네이버 블로그 )
한번 알아볼게요.
"What are you going to do tomorrow?"
내일 뭐할 예정이니?
이렇게 be going to는 ~할 예정이다. 라고
해석하시면 되세요.
또한 be는 현재시제인 경우 주어의 형태에 따라
am이 될 수도 있고, is나 are가 될 수도 있습니다.
'Be going to' 의 쓰임
[be going to]는 가까운 미래를 나타내며
[be동사]는 주어에 맞춰서 예를 들면
[I am going to]또는 [He is going to]가 됩니다.
will과의 차이점은 will은 즉흥적인 주어의 의지라고 한다면
be going to는 이전부터 계획한 미래라는 약간의 뉘앙스
차이가 있습니다.
예를 들어서
[be going to] ⇔ [will]
① I will play tennis tomorrow. 갑자기 결정한 즉흥적인 미래, 의지
= I am going to play tennis tomorrow. 뭔가 전부터 테니스를 치려고 했던 계획 된 미래
(나는 내일 테니스를 칠 것이다.)
해석은 유사하게 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뉘앙스 차이를 기억하세요.
② He won’t play tennis tomorrow. 즉흥적인 결정의 뉘앙스
= He isn’t going to play tennis tomorrow. 미리 계획한 미래의 뉘앙스
(그는 내일 테니스를 치지 않을 것이다.)
③ Will you play tennis tomorrow? 즉흥적인 미래의 뉘앙스
= Are you going to play tennis tomorrow? 이전부터 계획한 미래의 뉘앙스
(당신은 내일 테니스를 칠 것입니까?)
be going to나 will이나
미래 시제이므로
이렇게 미래시제에 자주 사용되는 어구가 있습니다.
좀 더 알아볼게요.
미래형 문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구
① tomorrow
예) tomorrow morning (내일 아침) 등
② next~
예) next week (다음 주)
next month (다음 달)
next year (내년) 등
③ this~
예) this year (올 해)
this afternoon (오늘 오후) 등
④ 기타
예) some day (언젠가) 등
어떠셨나요? be going to에 대해 잘 공부하셨는지요.
will은 주어의 즉흥적인 의지, 미래를 나타내므로
예를 들어 전화가 갑자기 와서 내가 바로 받을게 라고 한다면
I will get the phone. 이렇게 사용하고요.
미리 전화가 올줄 알고 있는 경우
미리 전화를 받을 계획을 한 경우
I am going to get the phone.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.
회화에서는
will은 'll로 축약을 많이 하며
am going to 도 회화에서는
I'm going to 식으로 많이 사용하니 참고해 주세요.